2025년 3월 20일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8.48포인트 오른 2,637.10으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상승률은 +0.32%입니다.
-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수에 나서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 개인 투자자는 차익 실현을 위한 순매도로 전환하며 매도세를 이어갔습니다.
투자자별 매매 동향
- 개인: 7,017억 원 순매도
- 외국인: 5,484억 원 순매수
- 기관: 669억 원 순매수
외국인과 기관이 매수세를 견인하며 시장 상승을 주도했습니다. 개인은 이익 실현 차원의 매도를 이어갔습니다.
거래량 상위 종목 (코스피 기준)
순위 | 종목명 | 현재가 | 전일비 | 등락률 | 거래량 |
1 | KODEX 200선물인버스2X | 2,060원 | ▼30원 | -1.44% | 101,885,288 |
2 | 동양철관 | 1,206원 | - | 0.00% | 71,083,503 |
3 | 삼성전자 | 60,200원 | ▲1,700원 | +2.91% | 34,546,761 |
4 | KODEX 코스닥150 레버리지 | 7,520원 | ▼410원 | -5.17% | 29,349,951 |
5 | 엑시큐어하이트론 | 823원 | ▲126원 | +18.08% | 27,692,164 |
6 | KODEX 코스닥150선물인버스 | 3,875원 | ▲100원 | +2.65% | 22,493,325 |
7 | 코오롱모빌리티그룹 | 3,245원 | ▲155원 | +5.02% | 19,787,810 |
8 | KODEX 2차전지산업밸류체인 | 1,295원 | ▲56원 | +4.52% | 16,398,111 |
9 | KODEX 레버리지 | 17,035원 | ▲245원 | +1.46% | 15,568,466 |
10 | 삼성중공업 | 14,540원 | ▼670원 | -4.40% | 14,848,122 |
거래량 상위 종목 특징 분석
- KODEX 200선물인버스2X
- 하락장에 대비하는 대표적인 ETF로 개인 투자자의 적극적인 매수세가 확인됨
- 전일 대비 1.44% 하락
- 동양철관
- 거래량 71백만 주로 높은 참여율을 보였지만 보합세 유지
- 대형 수주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 중인 것으로 분석됨
- 삼성전자
- 외국인 중심의 매수세 유입으로 2.91% 상승
- 반도체 업황 개선 기대감과 AI 관련 수혜 기대 지속
- 엑시큐어하이트론
- 전일 대비 18.08% 급등
- 보안 기술 관련 호재 및 수급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추정
- 코오롱모빌리티그룹
- 5.02% 상승
- 자동차 부품 및 전기차 부문에서의 성장 기대가 주가에 반영 중
업종별 시황 (상승률 상위 업종)
업종명 | 상승률 |
식품과기본식품소매 | +5.04% |
담배 | +4.23% |
철강 | +4.12% |
인터넷과카탈로그소매 | +4.03% |
에너지장비와서비스 | +2.73% |
특히, 식품·기본소매 업종과 철강 업종은 중국 경기 부양 기대감 및 내수 회복 기대에 힘입어 상승세가 돋보였습니다. 담배 업종은 저평가와 배당 매력이 재부각되며 강세를 보였습니다.
원/달러 환율
- 종가: 1,463.02원
- 전일 대비 +2.32원 상승
- 미국 FOMC 회의 이후 달러 강세 기조가 유지되며 원화 약세가 이어지고 있음
- 추가 상승 시 한국은행의 시장 안정화 조치 여부가 변수로 작용할 전망
종합 분석 및 투자 인사이트
오늘 코스피 시장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로 상승 마감하였습니다.
특히, 철강·식품 등 전통 경기 민감주와 함께 2차전지 및 반도체 업종에 매수세가 집중되며 상승세를 견인했습니다.
개인은 연일 매도를 지속 중이며, 원화 약세 흐름이 이어지는 가운데 외국인 수급이 유지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 외국인 매수세 유지 여부
- 원/달러 환율 1,470원선 돌파 여부
- 테마 순환매 지속 여부가 주요 관전 포인트입니다.
투자 유의사항
외국인 자금 유입 지속 여부와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대응이 필요합니다.
특히, 환율 변동성과 글로벌 금리 정책의 영향에 따른 수급 변화를 예의주시해야 합니다.
'오늘의 경제·주식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경제지표 발표 일정 및 주요 내용 정리 (2025년 3월 24일 이후) (2) | 2025.03.22 |
---|---|
미국, 4월 2일 대규모 관세 발효…트럼프의 의지 확고 (2) | 2025.03.21 |
연금개혁, 이대로 괜찮을까? [다른 나라 사례와 2030세대가 겪게 될 현실 시나리오] (2) | 2025.03.20 |
18년 만의 연금개혁, 무엇이 어떻게 바뀌었나? (0) | 2025.03.20 |
CJ와 올리브영, 합병설 부상…지배구조 개편 신호탄인가? (2) | 202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