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한국은행이 공식적으로 입장을 밝혔습니다.
"비트코인을 외환보유액으로 편입할 계획은 없다."
그 이유는 분명합니다.
- 높은 가격 변동성
- IMF 외환보유 자산 기준에 미달
- 시장 유동성 부족과 현금화 시 리스크 존재
한마디로, 한국은행은 국가 자산으로서의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하기 때문에
비트코인을 위험 자산으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 그런데 정부는 왜 세금을 매길까?
그런데 역설적입니다.
정부는 비트코인과 가상자산을 대상으로 세금 부과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2025년부터 시행되는 가상자산 과세는
양도차익에 대해 기본공제 5000만 원 초과 시 20%의 세율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한쪽에서는 위험해서 국가가 자산으로 보유하지 않는다면서
다른 한쪽에서는 왜 세금을 걷을까요?
■ 왜 코인은 외환보유 자산은 아니고, 과세는 되는가?
1. 자산과 통화는 다른 기준
- 한국은행은 국가의 외환·통화정책을 담당하는 기관입니다.
- 외환보유액은 안정성과 유동성이 필수 요건입니다.
➔ 비트코인은 기준에 맞지 않기 때문에 외환보유 자산으로 삼지 않는 것입니다.
2. 과세 대상은 '소득'이다
- 기획재정부, 국세청은 개인이 가상자산 거래를 통해 얻은 이익을
소득으로 간주합니다. - 소득이 있는 곳에 세금이 있다는 게 대한민국 조세 원칙입니다.
➔ 주식이든, 부동산이든, 코인이든 돈을 벌면 세금은 내야 한다는 것이 정부의 입장입니다.
3. 투자 리스크는 개인 책임, 과세는 국가 책임
- 코인 투자에 따른 리스크는 개인이 짊어지고,
- 수익이 발생하면 국가는 세금을 걷습니다.
- 국가는 자산 안정성 우선, 투자 수익은 과세 대상이라는 이중적 입장처럼 보일 수 있지만,
이는 기존 자산과 동일한 논리로 접근하고 있는 것입니다.
■ 해외 사례와의 비교는?
- 유럽중앙은행(ECB)과 일본은행, 스위스 중앙은행 역시 비슷한 입장입니다.
➔ 외환보유액으로서의 비트코인 편입은 모두 부정적입니다. - 미국은 일부 비트코인을 압류 자산으로 보유하고 있으나,
➔ 자산을 전략적으로 축적하거나 운용하는 방식은 아닙니다.
■ 결론: 가상자산은 자산인가, 화폐인가?
현재로서는 한국 정부는 비트코인을 '자산'으로 인식하고 과세하고 있지만,
국가 자산으로 보유하거나 안정적인 통화로 인정하지는 않는 입장입니다.
향후 글로벌 규제 및 통화 정책 변화에 따라
국가가 가상자산을 어떻게 다룰지는 지켜봐야 할 문제입니다.
한 줄 요약
비트코인은 국가 자산은 아니다. 하지만 개인 소득이니까 세금은 걷는다. (얄미움)
'오늘의 경제·주식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지거래허가제(토허제)란 무엇이며, 지금 왜 다시 주목받나? (0) | 2025.03.19 |
---|---|
삼성전자 주주총회(2025) 핵심정리|주가 부진 사과, AI·로봇에 적극 투자 예고 (1) | 2025.03.19 |
방송·엔터테인먼트, 그리고 K-콘텐츠: 2025년 시장을 주도하는 이유 (3) | 2025.03.19 |
중국발 전기차 전쟁, 테슬라 흔들리다 (0) | 2025.03.19 |
엔비디아, GTC 2025 신제품 발표에도 주가 하락…FOMC가 변수다 (0)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