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경제·주식 뉴스

[이슈분석] 공매도 전면 재개 하루 만에 다시 금지?

sssnews 2025. 4. 1. 15:21



공매도 제도의 혼란과 시장 신뢰의 균열

2025년 3월 31일, 한국 증시는 공매도 전면 재개라는 중대한 제도 변화와 함께 장을 열었습니다. 이는 2023년 11월, 무차입 공매도 문제가 불거지며 전면 금지된 지 약 1년 4개월 만이었습니다. 하지만 시장의 기대와 달리, 단 하루 만인 4월 1일 43개 종목에 공매도 금지 조치가 내려지며 투자자들의 혼란과 비판이 커지고 있습니다.


공매도 전면 재개, 무엇이었나?

  • 재개일: 2025년 3월 31일
  • 적용 범위: 코스피, 코스닥 모든 종목
  • 중단 기간: 2023년 11월 ~ 2025년 3월 (약 17개월)
  • 중단 이유: 기관·외국인의 무차입 공매도 불법 사례 다수 적발
  • 금융당국 대응: 전산 감시 시스템 도입, 개인 공매도 접근 확대 추진

공매도는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종목을 빌려 매도한 뒤, 하락 후 다시 매수해 차익을 얻는 전략입니다. 시장 유동성과 가격 안정에 기여할 수 있지만, 무분별하거나 불법적인 공매도는 주가 폭락과 투자심리 위축을 유발할 수 있어 논란이 큽니다.


그런데 왜 하루 만에 다시 금지?

2025년 4월 1일, 한국거래소는 총 43개 종목을 ‘공매도 과열종목’으로 지정하여 공매도를 하루 동안 금지시켰습니다.

  • 대표 종목: SK하이닉스, 카카오, 셀트리온 등
  • 기준:
    • 공매도 거래 대금이 전일 대비 2배 이상
    • 당일 주가 3% 이상 하락
    • 공매도 거래 비중 20% 이상 등

이 조치는 공매도 재개 이후 특정 종목에 집중적인 매도세가 쏠리며 급락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을 우려한 대응이었습니다.
금융당국은 4월~5월 두 달간 과열종목 지정 요건을 한시적으로 강화하기로 하며, 변동성 관리에 나섰습니다.


투자자 반응: “그럴 거면 왜 풀었나?”

  • 공매도 전면 재개 발표 → 단 하루 만에 43개 종목 금지
    → 투자자들 사이에선 제도의 일관성 부재에 대한 비판 제기
  • 개인 투자자들 사이에선
    "기울어진 운동장은 그대로인데, 규제만 복잡해졌다"는 반응도 많음
  • 공매도 자체보다도, ‘재개했으니 조심해라’는 신호만 준 꼴이라는 지적

금융당국의 딜레마

항목 설명
제도 정비 공매도 감시 시스템 도입, 불법행위 사전 차단 의지
시장 충격 우려 실제 매물 폭탄이 터지기 전 과열종목 지정으로 선제 대응
정치적 민감성 4월 총선 앞두고 개인 투자자 여론 의식 불가피

향후 전망

  • 공매도는 재개되었지만, 완전한 정상화는 아님
  • 향후 일정 기간 동안은 감시와 규제 하에 운영되는 제한적 공매도 체제
  • 투자자 신뢰 회복을 위해선 불법 공매도 제재 실효성 확보가 관건

결론

공매도 제도는 자본시장에 반드시 필요한 기제로 평가되지만, 그 운용에 있어 ‘투명성’과 ‘공정성’이 전제되지 않는다면 시장 신뢰를 해칠 수밖에 없습니다.
이번 사태는 제도 운영의 허술함과 커뮤니케이션 부재가 시장 혼란으로 이어진 대표적 사례로 남을 것입니다.